* 전기차 보급 확대시 주유소와 자동차정비소가 가장 먼저 고용 직격탄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 전기차 보급 확대시 주유소와 자동차정비소가 가장 먼저 고용 직격탄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전기차 보급 확대될 경우, 자동차 수리정비업과 주유소 및 충전소 등의 근로자수가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주유소/충전소 종사자수는 올해 대비 94%까지 급감할 수 있다는 조사가 나왔다. 

20일 고용노동부의 '제주도 전기차 보급확산 정책이 지역 고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자료에 따르면 제주도에서 전기차 보급이 확대될 경우 2030년 자동차 수리정비업의 근로자수는 2022년 대비 약 52% 수준(2022. 약 2,500명→ 2030년 약 1,320여명)으로, 연료소매업(주유소․충전소)의 근로자수는 2022년 대비 94% 수준(2022. 약 1,052명→ 2030년 약 985명)으로 급감할 것으로 전망됐다. 

폐업 및 업종전환 시기(사업주 대상 설문조사)에 대해서는 향후 5~10년 이내로 예상하는 경우가 많았다. 

응답자의 40% 이상이 향후 5~10년 내 주유소(40.6%)와 충전소(43.1%)가 폐업 또는 업종전환에 직면한다고 보았다.

다만, 충전기 노후화에 따라 새로운 전기 충전시설 구축이 이루어진다면 매년 355개의 전기공사업 일자리가 창출되고, 영업마케팅 및 고객 관련 일자리도 확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자체 등 관계기관은 전기차 정비인력 양성 훈련, 폐업 비용(위험물저장시설의 철거, 토양정화 등) 및 유사사업으로 전환(수소 또는 전기충전소로 전환 등) 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한편, 블록체인 사업체 대상 실태조사(102개) 결과, 게임 관련 사업이 전체의 60.8%를 차지하며, 평균 사업 운영기간은 3년8개월, 종사자는 평균 6.9명, 종사자 평균 근속기간은 3.3년으로 나타났다. 해당 기업의 78.4%는 재직자의 빠른 이직으로 경영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기술 활용처 발굴 문제(67.6%), 전문인력 수급(66.7%),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인식 부족(64.7%) 등을 산업활성화 저해요인으로 꼽았다.

 
취업유발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기 위해서는 네거티브 방식 규제를 도입하거나 현재 관련 법이 없는 경우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규제 개선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블록체인에 대한 수요를 활성화하고, 기업에서 원하는 인력이 적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고용노동부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