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각 주와 지방 정부가 첨단 교통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5억 달러 규모의 연방 보조금 지원 프로그램이 이달 말부터 진행된다고 운송 전문 루트피프티가 전했다. 미 전역에서 교통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 또는 기술 모집에 응모하는 일종의 챌린지 대회다.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 말 서명한 1조 2000억 달러의 인프라 법안에는 ‘이동성 강화 및 교통 혁명화(SMART: Strengthening Mobility and Revolutionizing Transportation)’ 프로그램을 위한 자금이 포함됐다. 법에는 프로그램을 통해 향후 5년 동안 매년 1억 달러를 지출하도록 되어 있다. 주와 지방 정부, 대중교통 기관, 통행료 등 교통시스템 운영자, 도시계획 조직 등 교통과 관계된 모든 관계자들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해 자금을 신청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시행 목표는 자율주행 차량, 도로변에 설치되는 센서, 드론 등의 기술을 교통 시스템에 어떻게 통합할 것이며, 이를 통해 교통 체증이나 병목현상, 충돌을 비롯한 각종 차량 사고, 직장인들의 출퇴근용 교통 옵션 다양화 등 솔루션을 발굴해 현실에 적용하는 것이다.
미국 교통부의 연구 및 기술 고문 벤 리바인은 “우리는 교통 담당 부서, 대중교통 기관 또는 지방 정부에서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에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이 진정 혁신적인 변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기대했다.
그는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에 대한 비전은 아이디어를 현지에서 발굴하거나 시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전국에 확대 적용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적용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리바인은 지난주 마이애미 비치에서 열린 ‘스마트시티 엑스포 USA’ 컨퍼런스 패널 토론에서 정부가 교통 부문에서 사회적 형평성을 개선하고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유사한 견해를 밝혔다.
SMART 프로그램을 주최하는 교통부는 이달 중 지원금 신청을 위한 공식 절차를 발표한다. 지원금은 두 단계에 걸쳐 지급될 예정이다. 첫 번째는 계획 및 프로토타이핑 단계로, 이 프로그램에 선정되면 수상자는 각각 약 200만 달러씩을 받는다. 이 그룹 중에서 최종 수혜자를 한 팀 선발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1500만 달러를 별도로 지원한다.
프로그램에는 또한 지역 파트너십을 위한 지원책도 마련했다. 이는 정부와 기업, 학술 기관 및 지역 사회 조직 간의 협업을 권장하기 위한 조치다.
지원금 5억 달러의 40% 이상이 40만 명 이상의 주민이 거주하는 지역 사회에 혜택을 주는 프로젝트에 지급될 예정이며, 30% 이상이 농촌 지역 또는 농촌은 아니지만 인구 40만 명 미만의 중소 지역 프로젝트에 할당됐다.
프로그램 성격은 지난 2015년의 스마트시티 챌린지와 유사하다. 당시 오바마 행정부는 도시에 혁신적인 교통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최대 4000만 달러를 지원하는 스마트시티 챌린지(Smart City Challenge) 프로그램을 마련했고, 오하이오주 콜럼버스가 최종 우승해 5년 동안 자금을 지원받았다. 콜럼버스는 이 대회 우승을 계기로 전국 유명 언론의 주목을 받으면서 교통 시스템 부문에서 최고의 스마트시티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리바인은 당시 스마트시티 챌린지가 큰 성공을 거두었다고 평가하고, 이 같은 경쟁이 지역사회에 강한 에너지를 일으키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동기부여 활동은 제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부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