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케이뱅크]
[출처: 케이뱅크]

|스마트투데이=김국헌 기자| 인터넷 전문은행 케이뱅크가 지난해 사상 최대 순이익을 올렸다. 국내 최대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와 제휴로 저원가성 예금이 늘고, 담보대출 비중이 확대되면서 수익성이 크게 좋아졌다.

케이뱅크는 지난 2024년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0배에 달하는 1281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2023년 순이익 128억원의 10배에 달하고, 역대 최대 순이익 기록인 지난 2022년 836억원을 경신했다. 

지난해 신규 고객 321만명이 유입되면서, 케이뱅크 고객 수는 1274만명으로 불었다. 이는 가상자산 호조로 고객이 급증한 지난 2021년을 제외한 최대 증가세라고 케이뱅크는 설명했다.

지난해 말 케이뱅크의 수신은 28조5700억원으로, 2023년 말 19조700억원보다 49.8% 늘었다. 작년 여신 잔액은 16조2700억원으로, 재작년 말 13조8400억원보다 17.6% 증가했다. 

케이뱅크의 가계 수신 중 요구불예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말 47.1%에서 지난해 말 59.5%로 확대됐다. 지난해 은행권 최초로 비대면 개인사업자 부동산담보대출(사장님 부동산담보대출) 출시에 힘입어, 대출 중 담보·보증 대출 비중은 2023년 말 39.0%에서 지난해 말 53.1%로 커졌다.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은 1.91%를 기록했다.

여·수신 성장으로 케이뱅크의 이자이익은 전년 대비 6.9% 증가한 4815억원을 기록했다. 비이자이익은 81.4% 급증한 613억원으로 집계했다. MMF(머니마켓펀드) 등 운용수익이 늘어난 가운데, 가상자산 시장 호조에 따른 펌뱅킹 수수료 확대, 체크카드 발급 증가, 연계대출 성장, 플랫폼 광고 수익 본격화 등이 비이자이익 증가로 이어졌다.

지난해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공급 규모는 총 1조1658억원이며, 중·저신용대출 연평균 비중은 34.1%로 목표치 30%를 넘겼다. 특히 지난해 4분기 평균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35.3%로, 인터넷은행 중 가장 높았다.

지난해 말 BIS(국제결제은행)비율은 14.67%로, 전년 말 13.18%보다 크게 올랐다. 같은 기간 건전성 지표인 연체율은 0.96%에서 작년 말 0.90%로,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86%에서 0.82%로 개선됐다. 대손비용률도 2.35%에서 1.59%로 떨어졌다. 

케이뱅크는 올해 IT 리더십을 기반으로 고객을 1500만명까지 확대하고, 기업대출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은 “상품·서비스 경쟁력 제고를 통한 고객 증가와 포트폴리오 개선, 건전성 강화를 통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라며 “올해도 지속적인 이익 실현과 건전성 관리를 통해 성장의 기반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