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연간 58.5% 급등..JB금융 48.0% 올라 2위
카카오뱅크 연간 하락률 24.0%
DGB금융도 시중은행 전환 불구 `마이너스`

[출처: 각 사]
[출처: 각 사]

|스마트투데이=김국헌 기자| 올해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모범생은 단연 은행주를 꼽을 수 있다. 4대 은행 지주회사들은 물론 지방은행 지주회사, 국책은행, 인터넷은행까지 모두 밸류업 계획을 공시했다. 

모두 연말 비상계엄 선포로 탄핵정국에 들어가기 전까지 코스피 지수를 웃도는 수익률로, 투자자에게 보답했다. 그러나 탄핵정국 직격탄을 맞은 것도 은행주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밸류업 정책 지속성에 의문을 품으면서, 은행주 매도가 집중됐다.

연말 외국인 투매에도 불구하고 은행주는 올해 한국 증시보다 월등한 수익률을 올렸다. 코스피 지수와 코스피 200 지수는 올해 8~9% 낙폭을 기록했고, 코리아 밸류업 지수도 2.1% 하락한 점에 비추어 보면 투자 성적표는 괜찮았다.

작년 12월 28일 기준가 대비 올해 12월 30일 종가로 은행주 연간 수익률을 계산했다. 

KB금융, 올해 58.5% 뛰어..코스피 상위 47위

은행주 가운데 올해 가장 높은 투자수익률을 올린 종목은 단연 밸류업 대장주인 KB금융이다. 올해 58.5% 뛰어, 5만2천 원대로 출발한 주가가 8만2천원대로 올라섰다.

[출처: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출처: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은행 지주회사 중에서 유일하게 코스피 종목 상승률 상위 50위권에 들었다. KB금융은 SK스퀘어, 신풍, 예스코홀딩스 등을 제치고 47위에 안착했다.

KB금융은 공교롭게도 비상계엄 선포 직전인 지난 3일 낮 10만1200원으로 마감해, 종가 기준 52주 최고가를 기록했다. 외국인은 지난 4일부터 30일까지 총 4334억원의 KB금융 주식을 시장에 쏟아냈다.

JB금융·BNK금융 올해 40% 넘는 수익률..하나·신한도 제쳐

은행주 수익률 2위와 3위는 예상을 깨고 JB금융지주와 BNK금융지주가 이름을 올렸다. 두 지주회사 연간상승률은 무려 48.0%와 46.1%에 달했다.

대형 은행 지주회사들보다 높은 수익률을 올린 셈이다. 하나금융지주 32.7%, 신한지주 22.2%, IBK기업은행 22.1%, 우리금융지주 19.2%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에 뒷걸음질 친 은행주도 있다. 인터넷은행 선두주자 카카오뱅크의 주가는 올해 24% 떨어져, 2만1천원대로 한 해를 마감했다. 올해 자회사 대구은행(현 아이엠뱅크)의 시중은행 전환 호재가 있던 DGB금융지주도 –2.6%란 실망스러운 성적표를 받았다.

"환율이 안정되면 은행주 저점"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이 지난주 은행주를 소폭이나마 순매수하는 등 외국인 매도세가 드디어 멈춘 점이 은행주가 선방했던 주요 배경"이라며 "전주 은행주는 원/달러 환율 상승과 소상공인 민생금융 지원 방안에도 불구하고 보합세를 기록해, 코스피 수익률과 동일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최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이 1,460~1,470원선을 상회하지 않는다면, 밸류업 공시상 주주환원 확대에 필요한 자본비율 유지는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예상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30일 서울 외환시장 야간거래에서 주간거래 종가 1472.5원보다 0.2원 내린 1472.3원으로 마감했다.

[출처: 하나증권]
[출처: 하나증권]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도 "환율이 안정되는 시기가 곧 은행주 저점"이라며 "기준금리 인하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내년 이자이익 감소는 불가피하나, 비은행 계열사들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와 충당금 부담이 완화되고, 지주의 전반적인 대손비용이 감소가 예상돼 순이익은 여전히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김도하 한화증권 연구원도 "은행은 정부가 주도한 밸류업 정책에 가장 잘 부합하는 업종"이라며 "특히 주주환원 확대 여력이 높은 3대 금융지주의 주가는 (탄핵 정국 전까지) 연초 이후 평균 50% 상승하며 코스피 수익률을 평균 57% 상회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도하 연구원은 "그 어떤 경제 상황과 규제 환경에서도 기존 예상대로 주주환원책이 이행될 것이라고 장담할 주체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기업 공시의 책임, 우리나라 증시의 국제 신뢰도 등을 고려하면 모든 것이 백지화될 것이라는 우려는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