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PIXABAY]](https://cdn.smarttoday.co.kr/news/photo/202410/61629_55271_1322.jpg)
|스마트투데이=김국헌 기자| '퇴직연금판 갈아타기'인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가 오는 31일부터 시작한다.
대출 갈아타기로 공을 세운 금융당국이 야심차게 도입하는 서비스다. 퇴직연금 상품을 해지하지 않고, 다른 금융회사의 같은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다는 편의성에 대중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반면 은행, 보험, 증권업계는 400조원에 달하는 퇴직연금 시장에서 진검승부를 벌이게 됐다. 새 서비스 도입을 앞두고, 금융권의 불편한 속내도 읽힌다.
금융감독원은 새 서비스 도입을 앞두고 11일 추가 설명자료를 배포했다. 금감원은 "실물이전 서비스는 법령상 의무는 아니다"라며 "금융사 자체의 예산과 인력을 바탕으로 전산시스템 구축이 필요해 전체 사업자와 기관의자발적인 협조에 기반해 추진하는 대규모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서비스 도입 시점이 이달 15일에서 31일로 보름 가량 늦춰진 데 대해 비판 여론이 생기자 해명에 나선 것이다.
이어 금감원은 "이 서비스가 활성화될 경우 퇴직연금 시장의 경쟁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제도 도입에 따른 금융업권과 사업자간 이해득실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권 입장에서 돈 써가며, 비교 당하고, 수익률 무한경쟁에 내몰리게 됐는데 반길 리 없다. 은행, 보험, 증권 등 업계의 이해득실이 첨예한 만큼 금융당국이 이를 조율하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삼성생명, 부산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iM뱅크, 하나증권, iM증권 등 7개사는 차세대 전산시스템 구축과 실물이전 전산시스템 도입 지연을 이유로 제때 시작하기 어렵다는 의견이다.
금융당국은 작년 초부터 전담팀을 만들고 추진해왔지만, 금융권은 추가 테스트가 필요하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DB, 동양, 신한, 푸본, 하나, 흥국, 롯데, 현대 등 주요 보험사들은 보험계약 형태의 퇴직연금이나 언번들 계약(운용관리와 자산관리 사업자가 다름)을 취급한다는 이유로 상품제공 업무와 관련한 시스템만 구축하기로 했다. 한화손해보험은 지난 2012년 이후 퇴직연금 신규사업을 중단해, 시스템 구축 대상에서 빠졌다.
서비스 도입 초기인 만큼 지켜보자는 목소리도 있다. 전체 대상 적립금의 94.2%를 차지하는 37개사가 오는 31일부터 참여한다. 삼성생명의 실물이전 대상 적립금 규모는 전체의 1.9%에 불과하다는 금감원 설명이다.
실제로 은행과 증권업계 퇴직연금 강자들은 실물이전 서비스를 앞두고 퇴직연금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홍보 집중포화를 퍼붓고 있다. 특히 대형 증권사와 4대 시중은행이 가장 적극적이다.
하우성 KB증권 디지털사업총괄본부장은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 시행으로 400조원에 육박하는 퇴직연금 시장의 하반기 대규모 머니무브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지난 8월 퇴직연금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일대일 대면 컨설팅을 선보인 신한투자증권의 임혁 자산관리영업그룹장은 “10월 시행 예정인 퇴직연금 실물이전제도 시행을 앞두고 고객의 필요와 기대에 부응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