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투데이=김세형 기자| 삼성전자에 이어 LG전자도 지난 3분기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부진한 실적을 내놨다.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2조1769억원, 영업이익 7511억원의 실적을 냈다고 8일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0.7% 늘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으나 영업이익은 20.9% 감소했다. 

시장 컨센서스는 매출 21조5759억원, 영업이익 1조62억원이었다. 사상 최대 매출은 돋보였으나 영업이익은 4분의 3 가량만 충족시켰다. 

LG전자는 "지난해 4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성장을 이뤄낸 가운데 지난 3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며 다만 "영업이익은 하반기 들어 급등한 물류비 영향과 마케팅비 증가에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지난 2분기 실적발표 이후 진행한 콘퍼런스콜에서 “하반기 해상운임 비딩 결과 컨테이너당 평균 해상운임이 전년 동기 대비 약 58% 상승하고, 광고비 등 마케팅 경쟁비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수요회복 지연, 원재료비 인상, 해상운임 변동 등 어려운 대외 환경이 이어지고 있지만 전사 매출 규모를 꾸준히 늘려 나가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LG전자는 설명했다. 

LG전자는 "사업방식과 사업모델 변화, 기업간거래(B2B) 사업 가속화 등 포트폴리오 고도화 차원의 노력이 사업의 근원적 경쟁력 제고로 이어지며 성장의 모멘텀을 유지해 나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가전구독, 소비자직접판매(D2C), 볼륨존 확대 등 다양한 사업방식의 변화는 가전 등 레드오션으로 평가받던 주력사업 분야의 꾸준한 매출 성장을 견인하고 있고 경기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B2B의 성장세도 꾸준하다고 밝혔다. 

또 생활가전은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구독 사업이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고 했다. 

LG전자의 B2B로의 변신에 선두에 선 전장 사업은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이 전기차 수요 둔화에 다소 영향을 받고 있으나, 100조 원 수준 수주 물량의 차질 없는 공급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2024년 3분기 연결기준 순이익과 각 사업본부별 실적을 발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