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 녹색기술인증 획득

현대로템이 전동차의 전기제동 친환경 기술인 ‘추진제어장치의 영속도(Zero Speed) 회생제동’ 기술로 녹색기술인증을 획득했다고 27일 밝혔다. 영속도 회생제동 기술은 전동차가 멈출 때, 정차 시점까지 회생제동을 지속 사용하는 기술이다.
현대로템이 2019년 국내 최초로 개발에 착수해 영업 운행 차량에 적용하고, 지난해 특허 등록했다.
기존 전동차는 저속에서 회생제동의 정확한 제어가 어려워 제동 패드의 마찰을 이용해 정차하는 공기제동 기술을 사용한다. 하지만 공기제동은 마찰 소음과 제동 패드의 마모에 의한 미세먼지를 발생시키고 감속도가 일정하지 않아 정위치 정차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영속도 회생제동 기술은 전동차가 멈출 때까지 전기제동을 유지해 회생제동 구간을 늘려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제동 패드 사용률을 감소시켜 마찰 소음 감소와 미세먼지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감속도가 일정해 전동차의 정위치 정차가 가능하고 승차감 개선에 효과가 있다.
현대로템은 2019년 납품한 서울 2호선 열차 214량에 영속도 회생제동 기술을 적용했다. 영속도 회생제동 기술을 적용한 서울 2호선 214량은 기존 전동차에 비해 연간 917MWh의 소비전력을 절감하고, 이산화탄소 연간 배출량 약 407톤을 저감하는 효과를 봤다. 이는 연간 6만 그루 이상의 소나무를 심는 효과와 동일한 수준이다.
아울러 제동 패드의 마모량을 줄여 연간 419kg의 미세먼지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봤다.
현대로템은 현재 자사의 영속도 회생제동 기술은 서울 2호선과 튀르키예 이스탄불 M7에 적용돼 운행 중이며 최근 출고식을 가진 GTX-A 전동차에도 적용해 시험 운전 동안 검증할 예정이라며, 영속도 회생제동 및 수소전기트램과 같은 친환경 철도 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해 ESG 경영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밝혔다.
- 현대로템, 대테러작전 투입용 '다족보행로봇' 개발 착수
- 현대로템, 현장 수소발생기 글로벌 시장 공략나선다
- 현대로템, 액화수소 충전소 실증 사업 첫 수주
- '스마트 철도' 인력양성 위한 연구과제 공모
- 현대차그룹×3개 스타트업, 환경 프로젝트 공동추진
- 국내 첫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중앙선에서 달린다
- 군사용 차량도 자율주행..현대로템 국내 최초 다목적 무인 차량 공급
- 현대로템, 기존 철로 활용해 수소 전기트램 실증 사업 착수
- 신갈동에 미세먼지 저감시설 6대 설치
- 한파로 고드름사고 급증..최근 3년간 신고건수만 1680건
- '이마트 보고 있나?' 롯데마트, 종이 전단지 안 뿌린다
- 중국발 미세먼지 사라지자 부산·울산은 '나쁨' 늘었다
- 한·미·EU·중·일, 전세계 수소기술 혁신센터 역할[스투/리포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