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미국 주택도시개발부(HUD) 발표에 따르면 2022년 1월 노숙자는 총 58만 2462명으로 2020년 마지막 집계보다 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스마트시티다이브가 보도했다. 노숙자 문제는 미국 스마트시티 행보를 가로막는 최대 현안이다.

발표에 따르면 노숙자 가운데 쉼터가 제공되지 않는 비보호 노숙자는 2020년 대비 3.4% 증가한 반면, 쉼터가 제공된 보호받은 노숙자는 1.6% 감소했다. 임시 거처 등 주거 공간이 그만큼 부족하다는 의미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해당 기간 동안 항시 노숙자는 11% 감소했고, 자녀가 있는 가정의 노숙자는 6% 감소했다. 다만 흑인과 원주민 노숙자가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HUD는 말했다.

미국 노숙자위원회는 통계 데이터에 기반해 오는 2025년까지 노숙자를 25% 줄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연방정부는 주택 우선 건축 등 노숙자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노숙자 문제는 최근 몇 년간 미국의 가장 심각한 정치 문제로 부상했다. 캘리포니아 등 여러 주의 도시들이 주택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대피소와 저렴한 주택 건설에 수십억 달러를 지출했다. LA의 신임 카렌 배스 시장은 관련 부처에 저렴한 주택 개발 프로젝트 승인 절차를 가속하도록 하는 노숙자 지원 긴급조치에 서명했다. 여러 도시들이 유사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휴스턴 등 일부 도시는 지난 10년간 주택 마련 우선 전략을 통해 노숙 인구를 크게 줄였다.

노숙자 해결을 위한 새로운 연방 계획은 인종 차별을 비롯한 불평등을 해결한다는 전략에 근거한다. 계획은 또한 무주택자나 노숙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에 대한 주택 공급을 늘리고 이들에게 맞춤형 지원을 실행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노숙자 대응 시스템을 개선하고 위험에 처한 인구의 주거 불안정을 해결하는 조치를 제시한다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에 수립된 계획은 노숙자들에게 주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들이 제대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일터를 찾아 수입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로드맵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바이든은 또 "공공과 민간의 협업을 강화해 주택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형평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5월에도 주택 공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해결책을 만들고 실행하는 지자체에 연방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바이든 행정부는 그 동안 300만 가구 이상에 대한 긴급 임대 지원과 아동 세액공제, 부양책 점검 등 코로나19 범유행 당시 연방의 개입으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노숙자 비율을 유지했다.

마르시아 퍼지 주택장관은 "HUD와 바이든 행정부의 모든 관료들은 모든 사람들이 집이라고 부를 수 있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장소를 갖도록 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퍼지는 또 "데이터는 노숙자들이 여전히 국가적 위기로 남아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지만, 그것은 또한 바이든 행정부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한 역사적인 투자가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