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거주 가구의 소득 대비 주택 가격 10.1배 높아

주택을 구매해 자기 집에서 사는 사람 비율이 57%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대비 주택 가격이 수도권의 경우 10.1배인 것으로 조사됐다. 자기 주택을 구매했지만 대출 등 부담으로 인해 다른 사람에게 임차하고 있다는 얘기다.
21일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가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에 의뢰해 전국 5만1천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1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자가 보유한 가구는 전체가구의 60.6%로 2020년과 동일했다.
수도권(54.7%)은 전년 대비 1.7%p 상승했지만 광역시(62.0%)와 도지역(69.0%)은 각각 0.2%p와 2.4%p씩 떨어졌다.
자가점유율, 즉 자신이 구매한 집에서 실제 거주하고 있는 비율은 57.3%로 1년전에 비해 0.6%p 감소했다. 지역별로, 수도권(51.3%)은 전년 대비 상승했지만(49.8% → 51.3%) 광역시(60.1% → 58.6%)와 도지역(69.2% → 65.9%)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점유형태를 보면 자가 57.3%, 임차 39.0%,무상 3.7%으로,1년전에 비해 자가 가구는 감소(57.9→57.3%)하고, 임차 가구는 증가(38.2 →39.0%)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주택가격 급등 등의 영향으로 국민들의 주거 질이 떨어진 것이다. 실제 주택가격을 가구주의 연소득으로 나눈 주거비부담(PIR)이 증가했다. 지난해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rice Income Ratio)는 전국 기준 6.7배(중위수)로 1년 전 5.5배에 비해 상승했다. 수도권 PIR이 10.1배에 달했다. 광역시 등은 7.1배, 도지역은 4.2배로, 모든 지역에서 PIR이 전년 대비 뛰었다.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Rent Income Ratio)은 전국 기준 15.7%(중위수 기준)로 2020년(16.6%)에 비해 소폭 낮아졌다.
가구주가 된 이후 생애최초 주택을 마련하는데 소요된 연수는 평균 7.7년으로 1년전과 같았다. 전체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7.5년으로 나타났다. 다시말해 7.5년마다 이사를 한다는 얘기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6.0년, 광역시 등은 7.4년, 도지역은 9.7년이며, 자가가구(10.5년)가 임차가구(3.0년)에 비해 오래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주택으로 이사한 이유를 조사(복수응답)한 결과, ‘시설이나 설비 상향’(50.4%), ‘직주근접(29.6%)’, ‘주택마련을 위해(28.4%)’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혼부부 가구의 43.9%는 자가에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은아파트(72.5%)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