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 칼러강판 30% 대비 바이오매스 2배 더 활용한 제품"

동국제강은 바이오매스를 60% 이상 사용한 친환경 컬러강판 ‘럭스틸 BM-PCM’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바이오매스는 재활용할 수 있는 식물이나 미생물 등을 열분해 발효시켜 만든 원료. 종전 석유계 원료를 대체해 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거둘 수 있어 친환경 원료로 구분된다.
동국제강은 친환경 소재에 대한 글로벌 가전·건설사 수요에 맞춰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친환경 컬러강판 제조 기술을 연구해 왔다.
동국제강은 국내 도료사와 공동 연구로 바이오매스 함량을 63%까지 극대화했다. 현재까지 출시된 바이오매스 컬러강판은 30% 함량이 최대였다.
동국제강은 강판에 색과 기능을 입히는 도료의 석유계 성분 ‘용제’와 ‘수지’ 모두 바이오매스를 적용해 함량을 확대했다. 동국제강은 이번 럭스틸 BM-PCM 개발로 기존 석유계 도료 기반 제품 대비 탄소 배출량을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국제강은 친환경 원료 함량을 두 배 이상 올렸음에도 물성과 색상 면에서 안정적인 품질을 확보했다. 동국제강은 친환경 컬러강판 범용성 확대를 위해 원료 구매처 다변화 및 배합 조정 등으로 원가 경쟁력도 확보했다.
동국제강은 10월 럭스틸 BM-PCM 라인 테스트를 마무리했다. 하반기 고객사와 생산성 검증 및 협의를 거쳐 내년 상반기 본격 상업화에 나선다.
럭스틸 BM-PCM은 동국제강 친환경 컬러강판 라인업 확장이다. 동국제강은 3월 세계 최초 무용 제형 컬러강판 ‘럭스틸 BM유니글라스’를 선보였고 현재까지 약 1000톤을 판매했다. 동국제강은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친환경 컬러강판 판매가 지속적 확대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동국제강은 ‘DK컬러 비전 2030’ 지속 성장 전략에 따라 친환경 공정 및 제품 개발을 지속할 계획이다.
- 호주 태양광발전 '급증' vs. 한국 '급감'
- [스투/포커스] 전 세계 36개국에서 나무 면적 순증…“쾌적하고 푸른 도시 조성”
- [스투/리포트] “머스크와 브랜슨의 우주 관광, 지구 기후를 망가뜨린다”
- LG화학+KIST, 공기 중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 원료 만든다
- 하수찌꺼기로 그린수소 생산기술 개발 본격 추진
- 'K-순환경제' 로드맵 무엇이 담겼나?
- 내년 정부 R&D지원, 사상 첫 5조원 돌파...탄소중립+디지털 뉴딜+Big3+중소•중견기업 지원강화
- 세계최고의 지속가능성 도시는 OOO이다
- 동국제강,코로나 차단 컬러 강판 개발
- 탄소배출권 부가세 면제 2025년까지 연장
- LG-GS家 바이오매스 친환경 에너지사업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