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재난안전硏, 위성·드론 기반 저수지 가뭄 점검 시연행사 열어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원장 이종설)은 위성영상과 드론측량 영상 자료를 활용해 농업용 저수지 수(水) 표면적 분석을 통한 저수지 가뭄 점검(모니터링)기술 시연회를 울주군에서 실시한다고 25일 밝혔다. 기술은 정밀한 저수지 가뭄 현황 지도의 제작과 가뭄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데에 활용될 전망이다.

앞서 연구원은 지난해 유럽우주국(ESA) 운용 위성(Sentinel-1)의 전천후 관측 영상레이더(SAR) 자료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저수지 표면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올해는 위성과 드론측량 영상 간 정밀한 비교 검증을 통한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중이다. 

시연회에서는  영상지도 수집·처리 단계,  알고리즘으로 자동 추출된 저수지 경계와 수 표면적 분석 단계,  위성 및 드론 영상 자료의 수 표면적 비교를 통한 정확도 검증 단계로 진행된다. 재난현장 조사 장비인 특수차량 및 드론이 투입돼 저수지 주변 지상 측량 및 항공 촬영을 하고, 고해상도 영상지도를 제작하여 저수지 주변 3D 정밀 지도를 생성할 예정이다.

이종설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은 “기후변화로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가뭄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안 마련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며 "이번 시연회를 계기로 가뭄 재해의 심각성을 되돌아보고, 인공위성과 드론 기술을 융합한 가뭄재해 관리 기술이 국가적으로 저수지 가뭄 점검을 위한 핵심 기술로 발전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