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는 다른 어느 나라보다 일찍 스마트시티 구축 정책을 펼쳐 왔다. 100개의 스마트시티를 만들겠다는 정책 아래 과감한 예산 투입과 기술 도입으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는 스마트시티 콘트롤 센터를 전염병 비상대응 센터로 활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적극적인 정책의 와중에 인도 언론들은 간간히 스마트시티 구축 정책의 어두운 그림자를 보도하기도 했다. 주민의 기본적인 삶을 유지할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스마트시티는 겉으로만 화려해 보이는 전시행정의 전형이라는 지적이었다.
특히 지난해 여름 폭우로 인해 홍수가 났을 때, 스마트시티로 적극 홍보하던 도시가 완전히 물에 잠기고 다수의 이재민이 발생했을 때는 ‘하수 처리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겉 모양만 스마트시티’라는 비판이 쏟아지기도 했다.
이런 상황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힌두스탄타임즈나 내셔널헤럴드 등 인도의 유명 언론사들의 스마트시티 관련 보도를 모아 보면 정책을 홍보하는 긍정적인 기사도 많지만 부정적인 의미의 보도도 적지 않았다.
대표적인 부정적 보도 사례는 정부가 추진하는 100대 스마트시티 중 1위인 보팔의 고위 관리의 방갈로에 폭우로 인한 빗물이 유입돼 물에 잠겼다는 기사다. 방갈로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 특히 빈민가에 사는 가장 가난한 거주민들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환경주의자들은 비 피해의 발생이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무분별한 토목에서 원인을 찾는다. 특히 과도한 나무 벌채에 대한 지적이 많았다. 보팔은 녹지로 유명한 도시인데, 보팔을 스마트하게 만든다는 명목 아래 100년 이상 된 수없이 많은 나무를 베어냈다. 그런데 이를 대신할 나무의 식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여기에 더해지는 또 다른 주된 비판은 사상 유례없을 정도로 심해진 대기 오염이다. 지난 겨울 보팔의 대기질 지수(AQI)가 429에 이르렀고, 델리도 심각한 오염을 겪고 있다는 보도다.
내셔널헤럴드의 비판은 더욱 신랄하다. 지하에 매설된 광케이블로 연결된 200여 개의 스마트 가로등 기둥에는 CCTV, 센서, 와이파이, 디지털 광고판이 장착되어 있다. 그중 일부는 시민들에게 대기질 수준을 수치로 알려준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 가로등은 마케팅 및 광고판으로 뒤덮여 있다고 한다.
스마트 쓰레기통은 크기가 적고 정기적인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아 쓰레기통 주변에 쌓이는 쓰레기가 더 많다. 도로의 기계화된 진공 청소도 선별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그나마 VIP 지역만이 대상이다. 먼지는 항구적인 문제로 등장했다.
급수와 전기 공급을 중단 없이 제공하겠다는 정부의 약속도 극소수의 인구만이 혜택을 입어 공염불이다. 올여름 많은 지역에서 주민들이 물을 공급받기 위해 100시간씩 기다렸다고 한다. 몇몇 거리는 전기 공급이 끊겨 어둠 속으로 빠져들었다.
통합 교통관리 시스템은 제대로 운영되지 않아 교통 신호가 자주 작동을 멈춘다. 그때마다 교통 체증은 심해진다. 다층식 주차 설비를 마련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먼저 주차한 차량을 빼 내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길가에 차량을 무단 주차하고, 단속 경찰에게 돈을 지불한다.
보도되는 부정적인 내용의 기사들을 보면 인도의 스마트시티는 거의 ‘실패작’에 가깝다. 제대로 운영되는 공공 서비스가 거의 없는 듯하다.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은 마비 일보 직전이거나 불합리하게 운영된다.
인도는 전체 인구의 31%가 도시에 거주한다. 정부는 스마트시티 미션 대상 도시 100곳을 발굴해 5년에 걸쳐 개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도시는 2018년 신룡이었다. 양호한 삶의 질, 깨끗한 환경을 위한 '스마트 솔루션'이 목표였다. 2017년 6월까지 40개 도시가 선정되었고 나머지는 다음 해에 추가됐다.
찬디가르는 수십 년 동안 아름다운 도시라고 불리운 스마트시티다. 수자원 관리와 모바일 와이파이, 고형 폐기물 관리 시스템, 자전거 공유 시스템 등이 야심차게 추진됐다. 여기에 예산 투입이 집중되고 있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
거의 모든 스마트시티 후보 도시들의 사정이 유사하다. 적은 예산으로 극히 일부분에만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불균형 발전이 일어나고 있다. 지난 6년 동안 스마트시티에 할당된 예산은 프로젝트 규모에 비해 크게 부족했다. 많은 관계자들은 스마트시티 정책이 대부분 도시에 사는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혜택을 주고 있다고 지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