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네트워크는 사람과 상품의 지속적인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도시의 다면적 구조인 심혈관 시스템이다. 전 세계의 시 당국, 시의회, 도시 계획자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교통 인프라의 품질과 효율성이 경제와 시민의 복지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특히 스마트시티 건설에 나서고 있는 도시에서는 특히 더 그렇다.

세계적인 컨설팅 기업인 맥킨지는 전 세계 25개 도시의 교통 시스템을 벤치마킹하여 도출한 5가지 핵심 교훈과 베스트 프랙티스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 주요내용을 정리한다. - 편집자 주.

도시 교통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성에 대한 분석 – 맥킨지 리포트

사진: 맥킨지 홈페이지 캡처
사진: 맥킨지 홈페이지 캡처

대중교통 효율성 및 경제성(전시회)과 같은 특정 지표에 따라 도시의 순위를 지정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 맥킨지 조사팀은 도시의 순위를 매기고 선두(1~10위), 경쟁(11~18위), 신흥(19~25위)의 세 가지 범주로 그룹화했다. 대중 교통과 개인 교통 이용에 대한 별도의 등급으로 가용성, 경제성, 효율성, 편의성, 안전성 및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해 각 도시의 교통 네트워크를 평가했다.

도시의 교통 네트워크는 동맥을 통해 사람과 상품의 지속적인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다면적 구조인 심혈관 시스템이다. 전 세계의 시 당국, 시의회, 도시 계획자들은 교통 인프라의 품질과 효율성이 경제와 시민의 복지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특히 스마트시티 건설에 나서고 있는 도시에서는 특히 더 그렇다.

전 세계 25개 도시의 교통 시스템을 벤치마킹하여 5가지 핵심 통찰력을 도출했으며 베스트 프랙티스를 찾아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5가지 핵심 교훈

1.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전염병 관련 두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서비스 및 안전기준 유지(Keeping service and safety standards high assuages pandemic-related fears of using public transport)

COVID-19으로 인한 락다운(이동제한. lockdown)은 2020년 생활양식과 출퇴근 패턴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많은 사람들이 출장을 완전히 중단했다. 전반적으로 여행의 횟수는 줄어들었지만, 대중교통을 이용했던 사람들뿐만 아니라 자가용차에 의존했던 사람들의 자가용차 이용은 증가했다. 그리고 일부 도시에서는, 대중교통은 직원 부족과 승객감소로 인한 수익 감소가 발생했으며, 그것은 요금 인상을 피하기 위한 대중교통 서비스 빈도 감소로 이어졌다.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교통 혼잡, 오염, 교통사고 건수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대중교통 운영자와 당국은 공유된 이동 방식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자가용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사람들은 안전하다고 느낄수록 대중교통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과 관련 안전조치 여부가 대중쿄통 이용에 관해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는 위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중국 도시에서는 의무적인 마스크 의무화, 물리적 거리두기 의무화, 정기적인 소독 및 시민이 확실하게 준수하는 기타 역학 안전조치 덕분에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감염될 위험이 있을 것이라는 인식은 더 낮았다. 중국 도시들에 있어서 이러한 조치는 필요에 따라 강화되며(예: 산발적으로 발병하는 경우) 통근자는 대중교통 구역에 들어가기 전에 녹색건강코드(green health code)를 제시하고 체온을 측정해야 했다. 그 결과, 중국 도시들은 팬데믹 기간동안 25개 도시 평균보다 높은 수준의 대중교통 이동성을 기록했다.

2. 교통망과 기반시설의 확장, 그리고 스마트한 정책으로 여행 옵션을 이용 가능하고 저렴하게 유지(Expanding transport networks and infrastructure, as well as smart policies, keep travel options available and affordable)

교통 이용률이 가장 높은 도시(런던, 마드리드 및 파리)들은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 도시는 주요 철도 허브이며 우수한 도로망, 자전거 도로 및 보행자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베이징, 마드리드, 모스크바는 지하철과 철도를 확장함으로써 교통 이용가능성 순위에서 상위에 랭크됐다. 이들 도시는 또한 도로 인프라를 개선하고 자전거 도로와 보행자 도로를 늘렸으며, 임대 자전거와 승차 공유 서비스와 같은 공유 교통 체계에 많은 투자를 했다.

마드리드의 자전거 공유 시스템은 자전거 3,000대와 250개 대여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0년에만 50개 대여소가 추가되었다. 모스크바는 지난 2018년 이후 자전거 공유 프로그램에 이륜차 3,000대를 추가했다. 또한 새로운 지하철 노선이 개통되어 모스크바 시민 70만 명이 추가적으로 지하철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베이징에는 지난 몇 년 동안 3개의 새로운 지하철 노선이 개통되었다.

공공 정책은 낮은 버스와 지하철 요금을 규제하는 것이든 아니면 레거시 운송 사업자와 승차 공유 회사 간의 경쟁을 조장하는 것이든 교통비를 저렴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가용 소유율이 높으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이 줄어들기 때문에 대중교통을 위한 수익흐름이 제한되게 한다. 따라서 자가용 소유를 억제하는 정책은 대중교통 사업자가 요금을 올리거나 서비스 기준을 낮추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 선전, 싱가포르과 같은 아시아 도시들은 대중교통의 경제성(public-transport affordability)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개인용 자동차 사용으로 인한 환경 및 사회적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 이 도시들은 적극적으로 자동차 소유를 더 비싼 선택으로 만들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멕시코시티, 상하이의 대중교통 시스템도 경제 경쟁과 기술을 자극하는 정부 정책으로 인해 훨씬 더 저렴해지고 있다. 상하이 시외 지역에 등록된 차량은 특정 구역에서 통행이 금지되고 있으며, 자율주행 택시 기술이 시범 운영되고 있어 향후 비용 절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통근자들은 여러 승차공유 서비스 제공업체들 간의 경쟁의 결과 요금 인하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와 멕시코시티에서는 유료주차시스템이 광범위하게 시행됨에 따라 자가용 소유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주차비 발생을 피하기 위해 대중교통이나 자가용 차량 공유로 눈을 돌리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도로에 차량이 줄어들어 교통 혼잡이 덜 발생할 수 있다.

3. 대중교통 전용차선 및 디지털화를 통해 통근 환경을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Dedicated public-transport lanes and digitalization can make the commuter experience more efficient and convenient)

효율성(Efficiency)은 도시 주변을 얼마나 빠르고 예측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지를 말하며, 편의성(convenience)은 통근자가 한 교통 수단에서 다른 교통 수단으로 얼마나 쉽게 전환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 전용차선의 수를 늘리고, 버스 노선을 최적화하고, 도로 건설 또는 현대화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디지털 업그레이드를 구현 등이 통근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모스크바, 선전, 싱가포르는 모두 운송 효율성(transport efficiency)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의 교통 시스템은 지하 대기시간이 짧고, 출퇴근 시간에는 속도가 빠르며, 버스전용 차선 비율은 조사 대상 도시의 평균 이상으로 높다. 중국 선전(Shenzhen)은 전용버스 차선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것은 출퇴근 시간 예측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싱가포르의 전자도로이용료부가시스템(electronic road-pricing system)은 자동차가 도로표지판 지지대를 통과할 때 자동으로 도로 통행료를 부과하는 디지털 장치를 활용하고 있으며, 피크 타임에도 자가용과 공용차량의 순조로운 도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편의성 지수는 한 교통 수단에서 다른 교통 수단으로 전환하는 것이 얼마나 수월한 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 부문에서 높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도시들은 발권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고 인터넷 접속을 증가시키며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버스와 지하역의 수를 늘리기 위해 투자했다. 일부 도시들은 새로운 노선을 계획하고 벌금과 범칙금을 확인하고 지불하는데 편리한 MaaS(Mobility-as-a-Service)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토론토는 9억 3,400만 달러에 달하는 버스 차량 업그레이드 덕분에 높은 수준의 여행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 버스들은 현재 100% 휠체어 친화적이며 지하철역과 더 가까운 곳으로 운행하고 있다 . 홍콩은 대중교통 체계도 개편했다. 93개 지하철역 중 90곳에 엘리베이터와 휠체어 경사로가 설치되어 휠체어를 탄 승객이 더 쉽고 빠르게 승하차할 수 있다. 한편 이스탄불은 QR코드 결제를 활용한 티켓팅 시스템이 대폭 개선되면서 편의성 순위가 상승했다. 이스탄불은 또한 여행자가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여행을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되는 울라심 아시스타니(Ulasim Asistani)라는 앱을 도입하여 시민들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4. 투자 및 정책에 있어서 모두 중요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matters—in both investment and policy)

통근자 안전과 환경은 모두 도시 교통 시스템 개선을 위한 노력에 있어서 소홀히 할 수는 문제이다. 이전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안전을 최우선 순위로 꼽았다. 따라서 도시 계획자와 당국은 도시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동시에 사고와 사망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두 도시는 경쟁 도시와 신흥 도시보다 지속 가능한 이동성 옵션에 더 많은 투자를 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공공 교통 시스템의 사용을 증가시켰다.

가솔린 및 디젤 엔진 사용에 대한 보다 엄격한 제한, 오염 감소 조치, 전기 자동차로의 전환 인센티브와 마찬가지로 안전 요구 사항 준수를 보장하기 위한 정책도 중요하다.

도쿄는 10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 9.6명으로 세계최저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도쿄 당국은 통근자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지난 몇 년 동안 통근 패턴 및 교통 위반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데이터 기반 스마트 교통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 결과 교통사고 사망자가 감소하고 교통 법규를 준수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도쿄 당국은 또한 차량 통행을 줄이고 도로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통행료 관리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베이징과 상하이가 교통시스템의 부정적인 환경영향을 적극적으로 억제하고 있다. 두 도시 모두 2021년에 중국 6 배출 기준(China 6 emissions standards. 유럽 연합의 유로 6 기준과 거의 동일)을 준수하는 차량만 판매할 수 있도록 의무화했다.

5. 인식과 현실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더 나은 의사소통이 필요하다(Better communication is needed to bridge gaps between perception and reality)

특정 측정 기준에 따라 2018년 이후 도시들의 교통시스템 변경 사항에 대해 주민들이 얼마나 만족하는지 추적했다. 주민들은 도시 당국이 교통 개선 프로젝트에 투입한 노고에 감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몇몇 경우 그렇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대부분의 시민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도시의 대중교통이 너무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서울은 객관적인 지표를 근거로 볼 때 대중교통 경제성(public-transport affordability)에 있어서 선두주자임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은 여전히 ​​불만족스러워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국이 주민들에게 모든 긍정적인 변화를 알리고 대중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몇년 동안 개인용 자동차에 대한 추가 규제가 도입되고 환경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노력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 당국은 가시적인 성공을 거둘 뿐만 아니라 이를 주민들에게 명확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

맥킨지가 조사한 세계 25대 도시 중 5개 카테고리별 톱 10 도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5개 카테고리별 상위 10개 도시

◇ 가용성(Availability) — 거주자를 위한 다양한 이동 모드 옵션

자료: 맥킨지 리포트
자료: 맥킨지 리포트

◇경제성(Affordability) — 다양한 운송 모드와 관련된 비용의 상대적 가중치

자료: 맥킨지 리포트
자료: 맥킨지 리포트

◇효율성(Efficiency) — 도시내 운행 속도와 예측가능성 

자료: 맥킨지 리포트
자료: 맥킨지 리포트

◇편의성(Convenience) — 한 운송 모드에서 다른 운송 모드로의 전환 용이성

자료: 맥킨지 리포트
자료: 맥킨지 리포트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Saf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 도시 여행의 안전 수준과 교통시스템의 환경적 영향

자료: 맥킨지 리포트
자료: 맥킨지 리포트

 

◆ 세계 주요도시 교통 시스템 현황

▶서울

자료: 맥킨지 리포트
자료: 맥킨지 리포트

▶싱가포르

자료: 맥킨지 리포트
자료: 맥킨지 리포트

▶베이징

자료: 맥킨지 리포트
자료: 맥킨지 리포트

▶런던

자료: 맥킨지 리포트
자료: 맥킨지 리포트

▶파리

자료: 맥킨지 리포트
자료: 맥킨지 리포트

▶도쿄

자료: 맥킨지 리포트
자료: 맥킨지 리포트

※ 맥킨지 리포트 원문 보기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