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공정 협약 논란에 급락 원전주 급반등..투자자 망연자실

|스마트투데이=이은형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우리나라의 소형모듈원자로(SMR) 경쟁력을 어필하고 나섰다.
뉴스1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21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방한한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 게이츠 재단 이사장을 접견하고 글로벌 보건 협력과 인공지능(AI) 미래 산업, 소형모듈원자로(SMR)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 대통령은 이날 "빌 게이츠 이사장은 저도 매일 쓰는 윈도우를 개발해 세상 사람들이 창문을 통해 세상을 볼 수 있게 됐다. 세상 사람들이 모두 창문을 가지게 됐다"며 "이제는 백신 개발이나 친환경 발전 시설 개발로 인류를 위한 공공재 개발에 나섰다고 하는데 참 존경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지구와 지구인 전체를 위한 공공적 활동에 대해 경의를 표하고 대한민국 정부도 최대한 함께할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행정부 초기 대통령을 만나 뵙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거의 유일하게 세계 복지 수여국에서 공여국으로 변모한 한국이 글로벌 보건 개선에 지속적으로 기여해 줄 것을 희망 한다"고 말했다.
그는 "AI 과학기술의 등장과 함께 발전과 진보도 있지만 의료 서비스 비용 상승이나 저소득 국가 차별이 우려된다"며 "다국가적 지원이 필요한 시기"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이러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는 큰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향후 20년 간 전 세계 아동 사망자 수를 200만 명 이하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뒤 "한국이 혁신적인 제품을 통해 이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한국의 바이오사이언스 제품들은 경이로운 수준"이라고 치켜세우며 "SD바이오, SK, LG, 유바이오로직스까지 10년 전까지만 해도 굉장히 작았던 한국 산업이 크고 중요한 산업으로 발전했다. 코로나 백신이나 진단 기기 등이 좋은 역할을 했다"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게이츠 이사장은 SMR과 관련한 대화도 나눴다고 강유정 대변인이 전했다.
게이츠 이사장이 AI 등 첨단산업 전력 수요 증가에 SMR이 해법이 될 수 있다고 하자 이 대통령은 "한국 정부도 차세대 원전 발전소 건설에 관심이 많고, SMR을 개발하는 국내 기업이 많다. 세계 시장 활약이 점차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이야말로 SMR의 강자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빌 게이츠는 이미 SMR 회사인 테라파워에 10억달러 이상을 투자했고, 향후 추가 투자 계획도 갖고 있다.
한편 게이츠 이사장은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을 언급하며 이 대통령에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를 잘 나누라고 덕담을 전했다. 이 대통령은 어려운 일이겠지만 슬기롭게 대화하겠다고 화답했다.
한편 최근 웨스팅하우스와의 불공정 협약 논란이 불거지며 연이틀 급락했던 한국전력과 두산에너빌리티 등 국내 원전주들은 이날 강한 반등세를 타고 있다.
대통령실에서 관련 사안을 조사하겠다고 언급하면서 투자심리가 급랭했으나 이틀 간 낙폭이 과했다는 평가와 함께 한국전력이 웨스팅하우스와 합작법인 설립을 모색하는 등 미국 시장 진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다.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도 원전주 반등에 힘을 실어줬다.
전일 공포에 질려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전주를 투매했던 투자자들은 하루 아침에 달라진 분위기에 망연자실하고 있다. 야당에서는 여권이 정치적 의도를 갖고 웨스팅하우스 협약 건을 대하고 있다고 성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