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의 금 운용 신탁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금 관련 제품이 진열돼 있다. 2022.2.15/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금 관련 제품이 진열돼 있다. 2022.2.15/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스마트투데이=이은형 기자 | 은행에 금(金)을 맡기고 이자를 받는 상품이 출시되면서 자산가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은 보통 가격 상승분만큼만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이 상품은 연 1.5%의 운용수익이 더해져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을 전망이다.

1억원어치 맡기면 연간 150만원 수익

12일 뉴스1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지난 11일 서초금융센터와 영업1부 지점에서 '하나골드신탁(운용)'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하나은행은 이에 앞서 고객이 맡긴 금을 시가에 팔아주는 신탁 상품을 내놨고, 이를 이번 상품까지 확대했다. 

이 상품은 고객이 보유한 금을 은행에 맡기면, 감정을 거쳐 만기 시 감정가의 1.5% 수준의 수익과 함께 금 실물을 돌려주는 구조다.

가입 대상은 24K 순금이며, 최소 가입 중량은 100g이다. 한국거래소 기준 g당 15만 원으로 계산하면, 약 1500만 원 상당의 금을 보유한 고객부터 가입이 가능하다.

예컨대, 약 1억 원 상당의 금을 맡기면 연간 약 150만 원의 운용수익을 얻고, 만기에는 맡긴 금을 그대로 돌려받는다. 여기에 금 시세가 오르면 시세차익까지 더해져 '이중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만기에 받은 운용수익은 현금으로 지급되고, 손님이 원하는 경우 금 실물로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시내의 하나은행 창구 모습 /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서울 시내의 하나은행 창구 모습 /뉴스1 ⓒ News1 허경 기자

 

'800톤' 장롱금 움직인다

이같은 상품은 하나은행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됐다. 국내 주얼리 연구소인 '월곡주얼리산업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순금(24K) 보유량은 약 800톤에 달한다.

'돈은 일을 시켜야 한다'는 자산 운용의 기본 원칙에도 불구하고, 순금은 대부분 장롱 속에 보관된 채 사실상 자산으로써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개인이 금을 직접 보관하다가 분실하거나 도난을 당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이에 하나은행은 지난 6월 아이티센그룹 산하 한국금거래소 자회사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과 업무협약을 맺고, 이 금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구체적으로 한국디지털에셋은 고객이 맡긴 금의 감정가 중 80%를 안전성이 높은 채권에 투자해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은행을 통해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구조를 만든 것으로 파악됐다.

소비자는 '1석 3조 효과'

하나은행은 이번 상품이 '1석 3조'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우선 금을 안전하게 은행에 맡겨 분실과 보관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안정적인 운용을 통해 수익을 창출한 뒤 만기에는 금 실물을 그대로 돌려받을 수 있다.

'하나골드신탁' 계약을 체결한 손님 A 씨는 "그저 가격이 오를 것을 기대하면서 보관만 하던 금으로 운영수익을 챙기고 필요할 땐 처분도 할 수 있게 돼 상품 만족도가 매우 높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하나골드신탁은 '서초금융센터'와 '영업1부' 지점에서 시범 운영을 거친 후 18일부터는 서울지역 25개 영업점과 부산 '해운대동백' 지점까지 26개 영업점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금도 '운용 가능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인식 전환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혁신적인 상품을 지속해서 출시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