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더스인덱스, 30대 대기업군 239사 신규 사외이사 876명 분석
- 관료 출신 전반적 감소..검찰·대통령실 출신 '급감'
- 재계·여성 비중 꾸준한 증가세

|스마트투데이=한민형 기자| 올해 30대 그룹 신규 선임 사외이사 중에서 검찰 출신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계 출신 비중도 감소한 가운데, 재계 출신 인사들이 빈 자리를 메꾼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신규 사외이사 비중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해 신규 선임 사외이사 7명중 6명을 관료출신으로 채운 CJ그룹, 재계출신 사외이사를 크게 늘린 롯데그룹의 변화가 돋보였다.
27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자산순위 상위 30대 그룹 중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239개사 사외이사 876명을 분석한 결과, 올해 신규 사외이사는 총 152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전직 관료 인사는 39명(25.7%)에 달했다. 지난해 215명 중 66명(30.7%)에 비해 5%p 관료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줄었다.

◇검찰 ·학계 인사 줄고 재계·여성 사외이사 비중 늘어
검찰 출신 대통령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사태와 검찰에 대한 전반적 불신 사태 등에 따른 후폭풍 탓에 검찰 출신 사외이사 감소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신규 사외이사 중 11명(16.4%)이 전직 검찰 출신 인사였는데 반해 올해는 단 3명(7.7%)에 그쳤다.
이 중 1명은 복수 기업에 중복 선임됐기에 실제 신규 인물은 NH투자증권의 오광수 전 검사장과 SK디앤디·카카오게임즈의 노정연 전 검사장 2명 뿐이다.
대통령실 출신은 전무했다.
반면 국세청(8명), 사법부(6명), 기획재정부(5명) 순으로 관료 출신 사외이사 선임이 두드러졌다. 이 중 기재부 출신 사외이사가 지난해 전체의 7.6% 비중이었는데 올해 12.8%로 그 비중이 높아졌다.
재계 출신 인사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215명 중 38명(17.7%)에서 올해는 152명 중 52명(34.2%)으로 급증했다. 절대 수도 늘었지만 비율은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이와 달리 학계 출신 시외이사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68명(31.6%)에서 올해는 35명(23.0%)으로 8.6%포인트 줄었다.
◇CJ그룹 신규 사외이사 7명중 6명이 관료출신..신세계 ·두산도 관료출신 '선호'
그룹별로 보면, 관료 출신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CJ그룹이었다. 올해 9개 계열사에서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 7명 중 6명(85.7%)이 관료 출신이다. 지난해(6명 중 5명)에 이어 올해도 관료 출신 중심의 선임이 이어졌다. 이에 따라 전체 사외이사에서도 28명 중 19명(67.9%)이 관료 출신으로 채워졌다.
신세계그룹과 두산그룹은 각각 5명의 신규 사외이사를 영입했는데, 이 중 3명이 관료 출신이었다. 전체 사외이사 기준으로 신세계는 20명 중 13명, 두산은 25명 중 10명이 관료 출신으로 구성됐다.
삼성은 올해 신규 사외이사 9명 중 5명이 관료 출신으로, 이 중 3명은 모두 기획재정부 출신이다. 이호승 전 청와대 정책실장(삼성바이오로직스),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삼성생명), 김상규 전 감사원 감사위원(삼성중공업)이 해당된다. 삼성은 16개 계열사 63명의 사외이사 중 절반이 넘는 32명이 관료 출신인데, 올해는 검찰 출신을 단 한 명도 추가 선임하지 않았다.
한화그룹은 10명의 신규 사외이사 중 4명이 관료 출신이다. 그룹 전체로는 12개 계열사 45명 중 14명(31.1%)이 관료 출신 인사들이다.
재계 관계자는 "CJ그룹은 식품, 미디어, 물류 등 다양한 규제 산업을 영위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료출신 인사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다"며 "특히, 지난 1월 스위스 계좌에 대한 국세청 조사에 더해 최근 계열사 부당지원 이슈와 관련한 공정위 조사도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책 대응력 강화 등 리스크 관리차원의 선택으로 풀이된다"고 지적했다.

◇ 롯데그룹, 재계출신 사외이사 비중 '↑'.."구조조정·벤치마킹 수요"
신규 사외외사 구성에서 가장 뚜렷한 변화는 롯데그룹에서 나타났다.
16개 계열사 63명의 사외이사 가운데 16명이 신규 인사인데, 이 중 14명이 재계 출신이다. 지난해엔 신규 26명 중 2명만 재계 출신이었고, 11명이 전직 관료였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백복인 전 KT&G 대표(롯데렌탈), 조웅기 전 미래에셋증권 부회장(호텔롯데), CJ제일제당 마케팅 부문장 및 서울시립교향악단 대표를 역임한 손은경씨(롯데웰푸드) 등이 있다.
한편, 올해는 여성 사외이사 비중도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올해 신규 152명 중에서 28명(18.4%)이 여성으로, 이로써 전체 사외이사 876명 중 192명(21.9%)이 여성으로 채워졌다.
이는 개정 자본시장법 시행 이후 3년 새 54.8% 증가한 것으로, 조사 이래 최고치다. 지난해와 비교해도 여성 사외이사는 47명이 늘었다.
여성 사외이사 비율은 2022년 15.4%, 2023년 18.5%, 2024년 20.3%에 이어 올해 21.9%까지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