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표준원, KS표준 제정
제품·서비스 개발단계부터 관리

GPT-5의 교육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고 샘 올트먼이 밝혔다.
GPT-5의 교육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고 샘 올트먼이 밝혔다.

최근 챗 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되자 정부가 AI의 윤리문제를 KS표준으로 관리한다고 발표했다. AI 윤리의 첫 번째 국가표준(KS)이 탄생한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 이하 국표원)은 AI 윤리 점검 서식에 대한 KS를 제정한데 이어 제품·서비스 관련 기업 등을 대상으로 14일 ‘AI 윤리 KS 제정 설명회’를 개최했다.

표준은 2021년부터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AI 윤리 표준화 포럼에서 논의와 검증을 거쳐 개발됐다. 챗GPT 등의 인기 상승과 함께 AI의 윤리적 사용이 제기되는 시점에 맞춰 표준을 발표해 업계의 관심을 끌었다. 제품과 서비스 개발 단계부터 필요한 고려항목을 제시하고, 자체 점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마련했다.

설명회에서는 AI의 개발자, 서비스 제공자, 사용자 모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투명성, 공정성, 책임성과 같은 윤리적 항목에 대한 자가 점검서식의 작성 방법을 소개했다. 실생활에서 활용도가 높은 챗봇, CCTV, 교육서비스 등 표준 활용을 돕는 10가지 사용사례도 공유했다.

또한 에스케이씨엔씨(SK C&C), 엘지전자, 위니아 등 기업의 KS 윤리 표준 적용방안도 논의했다.

진종욱 국가기술표준원장은 “기업이 AI 윤리문제를 어떻게 대비해야하는지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이번에 제정된 KS 윤리표준은 민간 주도로 만들어져 기업이 자율적으로 쉽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크다”고 평가하면서 “국내 AI산업의 신뢰성 강화와 더불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도 도울 수 있도록 AI 국제표준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 조지아에서는 라디오 진행자가 챗 GPT를 상대로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다. 오픈 AI가 개발한 챗 GPT가 거짓정보를 제공했다면서 고소한 것으로 법적 책임을 물은 최초의 사례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