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4개 시도 중 서울·경남 두 곳만 1 순위 청약 경쟁률 두 자릿수 기록

새절역 두산위브 트레지움 야경 투시도(사진제공. 두산건설)
새절역 두산위브 트레지움 야경 투시도(사진제공. 두산건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에 따르면, 올해 4월 12일 기준 14개 시도에서 아파트 1만6603세대(일반공급)가 공급됐다. 이중 1순위 청약에 쓰인 청약통장은 총 9만 8860개로 평균 5.9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는 전국 곳곳에서 미분양 아파트가 속축하는 가운데서도 서울과 경상남도가 1순위 청약경쟁률에서 두 자리수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고 밝혔다. 청약시장에서 양극화가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리얼투데이는 서울은 722세대 모집에 총 3만9,025개의 청약통장이 몰려 평균 54.0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경상남도는 998세대 모집에 2만6,995개의 청약통장이 몰려 평균 27.05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다른 12개 시도는 한 자릿수 또는 미달에 그쳤다. 청약 경쟁률은 △광주 6.32대 1 △충북 4.27대 1 △부산 3.34대 1 △경기도 1.98대 1 △인천 1.05대 1 △전북 0.56대 1 1 △충남 0.48대 1 △제주 0.12대 1 △전남 0.04대 1 △울산 0.03대 1 △대구 0.02대 1 순이었다. 특히 경상북도는 올해 1순위 청약에 단 한 개의 청약통장도 쓰이지 않아 눈길을 끈다. 

자료제공. 리얼투데이
자료제공. 리얼투데이

서울이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할 수 있었던 이유는 정비사업을 통해 주거여건이 우수한 도심지에서 브랜드 아파트가 공급됐고,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로 청약자격 및 대출여건 등이 대폭 완화되면서 투자자들이 대거 몰렸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실제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 4개 단지 중 3곳이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됐다. 지난 3월에 공급된 영등포 자이 디그니티과 은평구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시그니처는 각각 도시환경 정비사업과 주택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분양됐다. 이달 4일 공급된 휘경자이 디센시아는 휘경3재정비촉진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이다. 

경상남도는 지난 1월 롯데건설이 창원시 의창구에서 분양한 ‘창원 롯데캐슬 포레스트’가 1순위 청약 접수에서 총 952세대 모집에 2만6,994명이 신청해 평균 청약 경쟁률 28.36대 1을 기록하며 지역 경쟁률을 견인했다.

이 단지는 구(舊) 창원에 신규 공급되는 마지막 대단지 브랜드 아파트라는 입소문을 타면서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또한 창원시가 2020년 특례시로 승격하면서 다양한 개발호재가 예정돼 있고 도시 경쟁력이 강화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과 경남이 올해 높은 청약 경쟁률을 유지할 수 있을지 새 분양 단지에 시장의 눈길이 쏠리고 있다.  

서울에서는 5월에 두산건설이 은평구 신사동 170-12번지 일원에서 ‘새절역 두산위브 트레지움’을 분양할 예정이다. 신사1구역 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되는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18층, 6개 동, 전용면적 59~84㎡ 총 424세대 규모로 지어지며, 이 중 235세대를 일반분양한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동대문구 이문동 257-42번지 일원에서 ‘래미안 라그란데’ 분양을 준비중이다. 이문1재정비촉진구역을 재개발한 이 단지는 지하 5층~지상 27층, 39개 동, 총 3,069세대 규모로 조성되며, 이 중 920세대를 일반분양한다. 

경상남도에서는 HDC현대산업개발이 창원시 성산구 신월동 90번지 일원에서 ‘창원 신월 아이파크’를 5월에 분양할 계획이다. 신월2구역 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조성되는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3층, 12개 동, 총 1,509세대 규모로, 이 중 142세대를 일반분양한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