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공공와이파이 구축확대 및 고도화 본격 추진
- 7월 시내버스 4,200대부터 5G 백홀 와이파이로 단계적 전환
- 전국 공공장소 1만 개소 신규구축, 이중 2000개소 10G 백홀 시범도입
- 공공와이파이 길찾기 서비스로 이용 편의성 개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국민들의 가계통신비 절감 및 보편적 통신접근성을 위한 ’22년 공공와이파이 구축확대 및 고도화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공공와이파이는 2012년부터 구축·개방되었으며, ’22년 현재 공공장소 4.3만개소, 시내버스 2.9만대 등 총 7.2만개소에서 국민들에게 무료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공공와이파이는 국민들의 총 52.0%가 지속 활용하고 있는 등 이미 우리 국민 가까이에서 주요 데이터 이용수단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정부는 디지털을 통해 국민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는 디지털 플랫폼 정부 시대가 도래하고, 동영상 등 고용량 콘텐츠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는 국민들의 데이터 이용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보다 고품질의 공공와이파이에 대한 국민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공공와이파이 확대 구축, 접속 품질 개선 등 양적·질적 고도화를 올해부터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추진계획은 다음과 같다.
■ 시내버스 와이파이 5G 고도화 서비스 개시(’22.7.1.~)
7월부터 시내버스 공공와이파이를 기존 LTE 대신 5G 통신으로 연결하여 단계적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LTE에서 5G로 통신 전환 시 기존 100Mbps 이하였던 와이파이 속도를 300~400Mbps급으로 3배 개선하여 많은 이용자들이 동영상 등 고용량 콘텐츠를 이용하더라도 쾌적하게 공공와이파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는 시내버스 4,200대를 우선 고도화하여 7월부터 5G 기반으로 본격 서비스하고, 나머지 시내버스도 ’23년 내 5G 전환을 통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 공공장소 와이파이 확대구축 및 고도화(~’22.12.)
정부는 올해 도서관, 전통시장, 버스정류장 등 전국 공공장소 1만 개소에 공공와이파이를 신규구축하기 위한 사업자를 선정(6월, LGU+)하고, 7월부터 본격적으로 구축을 착수에 나섰다.
특히 올해는 신기술인 '와이파이 6E'를 활용하여 공공와이파이를 구축할 예정이며 안정적인 동시 접속, 안전한 연결과 높은 속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와이파이 6E'는 지난해 하반기 제품 출시된 와이파이 규격으로, 2.4㎓, 5㎓만 활용하는 기존의 와이파이 6에 비해 6㎓ 대역을 추가 사용하여 체감속도 및 동시접속 안정성 향상된 와이파이 기술이다.
이와함께 1만 개소 중 20%에 해당하는 2천 개소에 대해서는 10G급 초고속 통신 연결을 시범 도입하여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에서도 병목현상 없는 쾌적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공공와이파이 찾기 편의성 개선(~’22.12.)
공공와이파이 홈페이지 및 앱이 이용자 근처에 소재한 공공와이파이를 찾아갈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길찾기’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다.
그간 홈페이지와 앱이 공공와이파이가 소재한 장소를 지도에 표시하여 안내해 주고 있었지만, 이번에 경로 안내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무료 데이터 이용이 필요한 국민들이 더 편리하고 빠르게 공공와이파이를 찾을 수 있도록 편의성을 개선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우리 생활 가까이에 있는 시내버스에 5G 와이파이를 도입하고, 국민들이 자주 방문하는 전국 공공장소에 공공와이파이를 확대구축하게 된 것을 의미 있게 생각하며, 국민의 눈높이에서 보다 빠르고 편리한 공공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