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30일부터...대중교통비 최대 50%까지 절감 가능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 이하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백승근, 이하 대광위)는 경기도 부천시민들이 부천시에서 발급하는 ‘스마트시티패스’를 국토부의 알뜰교통카드 기능과 연동하여 사용할 경우 7월 30일부터 대중교통비용을 최대 50%까지 절감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알뜰교통카드와 부천 스마트시티패스의 연계사업은 각각의 앱을 구동해야만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는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국토부 대광위와 부천시 간 협업을 통해 추진됐다.
이에 따라 알뜰교통카드 기능이 부천시 스마트시티패스 앱으로 일원화 되고 이용혜택까지 강화하여 대중교통비용의 최대 50%까지 절감할 수 있게 개선됐다.
국민들의 교통비 절감을 위한 국정과제의 하나로 채택되어 국토부가 2019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알뜰교통카드 사업은 ‘21.7월말 현재 기준 전국적으로 24만 명의 이용자가 가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 사업을 통해서 국민들은 대중교통비용의 최대 30%까지 절감 혜택을 받고 있다.
부천 스마트시티패스 앱으로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 시민들은 대중교통 외에도 공유자전거ㆍ킥보드 등 개인형 모빌리티, 주차장, 공유차 등과 연계한 교통서비스를 한 번에 이용할 수 있게 되는데, 부천시민들은 이를 통해 시(市) 재원으로 마일리지를 최대 20%까지 추가 적립하는 혜택을 제공받게 된다.
한편, 부천시 공유경제 플랫폼 ‘스마트시티패스’는 국토교통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에 선정(‘20.2)되어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해왔다.
부천시의 스마트시티패스 마일리지 지원 사업은 ‘21년 7월 30일부터 ’21년 12월까지 시범사업 후 ‘22년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대광위 광역교통요금과 박정호 과장은 “알뜰교통카드와 부천시 스마트 시티패스의 연계를 통한 대중교통비 절감 확대 사례가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 이라고 말했다.
부천시민이 시티패스 앱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 전·후 알뜰교통카드(또는 캐시비 교통카드)와 함께‘공유전동킥보드(킥고잉)·공유전기자전거(일레클)·공유차(위굴리)·주차공유(모두의주차장)’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이용한 대중교통요금에 대해 마일리지를 최대 20% 적립해주는 혜택을 제공받게 된다. 이는 부천시민 인증을 통해 부천시만이 누리게 되나 국토부 대광위와 부천시 간 협업 모델이 많은 도시에 확산이 되길 기대하고 있다.
![]() |
||
| ▲ 대중교통 이용 혜택: 알뜰교통카드(최대30%) + 시티패스(최대20%) | ||
※ ‘21. 7. 30.~’21. 12. 시범사업 후 22년 본격 시행 예정
※ 시티패스에 혜택을 제공 받기 위해 알뜰교통카드(우리, 신한, 하나카드) 사전 신청 필요
이외에도 부천 스마트 시티패스에서는 기존 최적경로 안내서비스와 차별화하여 대중교통과 공유모빌리티를 포함한 교통소통정보를 반영한 최적경로 안내서비스, 시티패스 포인트 충전을 통해 이동수단 연계 통합 마일리지 및 통합 결제 서비스, 신용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시민들을 위한 캐시비 선불 교통카드 등록 및 이용서비스 등을 함께 제공한다.
현재, 부천시는 국토교통부 도시경제과(과장 윤의식)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에 선정되어 공유경제 플랫폼(스마트 시티패스)을 통해 주민이 만들고 주민이 누리는 스마트도시를 구축하고 있다.
본 사업은 공유 서비스 플랫폼 주관기업인 데이터얼라이언스와 혁신기술 주관기업 아토리서치, 지역별 일자리 서비스와 디지털 역량 강화(UDI) 등을 위한 지역거점 공간을 지원하는 LH 등 총 17개 기업이 참여하여 7월 30일 교통서비스를 시작으로 추후 LoRa IoT망(데이터얼라이언스) 구축과 공공와이파이 서비스(아토리서치), AI기반 무단횡단 알림 및 실종자 검색 서비스(크레스프리), 깨끗한 마을서비스(시민이 참여하는 만드는 쓰레기지도, 크로센트) 및 데이터 전략 수립(디토닉, 투이컨설팅)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
장덕천 부천시장은 “하나의 플랫폼 안에서 시민의 대중교통비 절감 지원 서비스를 시작으로 시민의 일상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며 “부천시가 지향하는 스마트도시는 무엇보다 시민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데이터 접근이 용이하고 스마트시티를 모두가 누릴 수 있도록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에도 집중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 부천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현황
‣ (사업명) 공유경제플랫폼으로 주민이 만들고, 주민이 누리는 스마트도시
‣ (사업기간 및 사업범위) ‘20.6.1 ~ ’22.12.31 / 부천시 전역(거점 13곳)
‣ (총사업비) 383억원(국비 100억원, 시비 236억원, 민간투자 47억원)
‣ (참여기업) 데이터얼라이언스 등 15개社
‣ (대표솔루션) 주차공유, 개인형 모빌리티 연계 통합 교통서비스, 시민참여형 마을기업, AI기반 실종자 추적서비스, 안심울타리, 깨끗한 마을서비스

